경제뉴스

[2025년 최신 정리] 자본잠식이 뭐길래… 시총 5,000억 넘는 회사도 위험하다?

티끌모아백억 2025. 3. 29. 21:54
반응형

요즘 주식시장, 외형은 멀쩡한데
속을 들여다보면 빚더미에 앉아 있는 회사들이 꽤 많습니다.

그 대표적인 신호가 바로 ‘자본잠식’.
심지어 시가총액 5,000억 원이 넘는 대기업조차
자본잠식 상태에 빠져 있는 경우도 있어요.

오늘은

ㆍ자본잠식이란 무엇인지

ㆍ어떻게 계산하는지

ㆍ2025년 3월 기준 자본잠식 기업 리스트

ㆍ특히 시총 5,000억 이상 자본잠식 기업들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

자본잠식이란?


자산 - 부채 = 자본
이 공식에서 자산보다 부채가 더 많아지면,
→ 자본이 마이너스가 됩니다.
→ 이게 바로 자본잠식 상태

회사 입장에서
**"우리 껀 하나도 없고, 전부 빚으로 굴러가는 중"**이라는 뜻이에요.



자본잠식률 계산법


자본잠식이 얼마나 심각한지 보려면,
‘자본잠식률’을 계산해야 합니다.

공식:

> 자본잠식률 (%) = (자본금 – 자기자본) ÷ 자본금 × 100



예시

자본금: 100억

자기자본: -20억
→ (100 – (-20)) ÷ 100 × 100 = 120% 자본잠식


→ 이 경우 완전잠식, 상장폐지 심사 대상이에요.


자본잠식이 위험한 이유




자본잠식 기업 리스트


(2025년 3월 기준, 주요 기업 중심)



그중 시가총액 5,000억 원 이상인데도 자본잠식?


→ 충격적인 진짜 사례

1. 한화손해보험

자본잠식률: 표면상 약 93.3%

해명: 회계상 착시 (채권 재분류)

시총: 약 6,000억 원

요약: 회계적으로는 위험, 실질은 안정적


2. 티웨이항공

자본잠식률: 약 66.9%

시총: 약 5,100억 원

이유: 코로나 타격 후 회복 중

요약: 실적 회복 중이지만 위험 여전


3. 아시아나항공

자본잠식률(연결): 약 57.3%

부채비율: 1천% 이상

시총: 약 1조 원

요약: M&A 과정과 부채 부담으로 재무 불안정




투자자 체크리스트


이런 기업에 투자할 때,
이건 꼭 확인하세요:

ㆍ 자본총계가 마이너스인가?
ㆍ부채비율 200% 이상인가?
ㆍ 이익잉여금이 마이너스인가?
ㆍ유상증자를 자주 했나?
ㆍ상장폐지 심사 대상인지?



마무리 한 줄 요약

> “겉으로는 튼튼해 보여도,
속으로 곪은 기업은 반드시 드러납니다.”



자본잠식은 바로 그 징조예요.
숫자는 거짓말하지 않습니다.

재무제표 속 자본총계와 자본잠식률,
지금 바로 체크해보세요.
당신의 지갑이 무너지기 전에.

반응형